9월 말 마약밀수 적발 493㎏…작년보다 29%증가 국제우편 49%로 최대…여행자 핸드캐리 이용도 마약류 은닉 의심화물 개장검사…파괴·해체 상향키로
관세청이 마약밀수 단속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마약밀수 특별대책 추진단'을 운영한다. 앞으로 기내 수하물 검사율도 2배 이상 확대하기로 했다. 관세청은 24일 전국 세관 마약관계관 회의를 열고 관세청 차장을 단장으로 해 본청과 전국세관의 관련 조직을 아우르는 '마약밀수 특별대책 추진단'을 출범시킨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기존 통관·조사 등 업무 구분에 따른 단편적 대응의 한계에서 벗어나 종합적 단속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기내(핸드캐리) 수하물 일제검사 확대 등 여행자에 대한 검사율을 높이는 한편 전신검색기 활용을 대폭 늘려 신체 은닉 등 마약밀수의 사각지대를 줄여나갈 계획이다. 신종마약 증가 등에 대응하기 위해 장비 및 연구개발(R&D) 부서와 협력도 강화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올해 들어 9월 말까지 관세청이 적발한 마약류가 493㎏으로 지난해 같은 시기(383㎏)보다 29%증가한 것으로 보고됐다. 적발 건수는 501건으로 11% 줄었다. 적발 건수는 감소하는데 적발 중량은 증가하면서 1건당 적발 중량은 984g으로 늘었다. 3분기 건당 적발 중량(985g)은 동 분기 기준 역대 최대였다. 밀수 경로별로 보면 국제우편이 243㎏(49%)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특송(136㎏),국제우편특송기상천외마약밀수관세청특별대책단운영재단위원회 여행자(102㎏), 일반화물(12㎏) 등이 뒤를 이었다. 여행자 밀수 중에서 핸드캐리 수하물을 통한 밀수가 30%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필로폰(246㎏), 대마(120㎏), 케타민(31㎏), 합성대마(23㎏), 일명 '엑스터시'로 불리는 MDMA(18㎏) 등의 순으로 많았다. 합성대마·MDMA·케타민 등 신종마약류가 119㎏이었다. 국가별로는 태국(123kg), 미국(116kg), 라오스(47kg), 베트남(35kg) 등의 순으로 적발 중량이 많았다. 연령대별 적발 건수를 보면 20대가 29%, 30대가 32%, 40대가 19%로 20∼40대가 전체 밀수의 80%를 차지했다. 이들은 주로 필로폰, 케타민, 합성대마 등을 밀수한 것으로 드러났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